자동차 신무역장벽 ISO 26262
기술력과 관련한 문제를 자꾸 프로세스로 접근하다보니 잘못된 해법이 나온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ISO 26262는 자동차 전장부품 개발 과정에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지켜야 할 원칙들을 규정해놓은 문서”라면서 “이를 수동적으로 따른다고 해서 해결되는 건 아무것도 없다”고 말했다. 그는 “돈만 주면 받을 수 있는 인증서가 결코 아니다”면서 “결국 안전한 전장부품 기술력을 확보해야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교수는 그 원인을 사회 전체의 안전문화(Safety Culture) 부재에서 찾았다. 지난 수십년 간 생산성 향상에만 매달리며 선진국 제품을 쫓아가기 급급하다보니 안전기술을 챙길 여유가 없다는 분석이다. `잘 팔리는데 이런 것을 왜 해야 하느냐`며 ISO 26262를 등한시 했다는 것. 문제는 이를 준수하지 않으면 물건 자체가 팔리지 않는 시기가 2~3년 안에 우리에게도 닥친다는 점이다.
김 교수는 지금이라도 ISO 26262 중요성을 인식하고 정부와 자동차 업계의 발빠른 대응을 강하게 주문했다.
그는 “정부가 다양한 기관 및 기업과 협력해 ISO 26262를 반영해 차량 부품을 설계할 수 있는 고급 세이프티 엔지니어를 양성해줘야 한다. 업계에는 이 같은 인재가 턱없이 부족하다. ISO 26262를 구현하기 위한 관리 및 검증 소프트웨어를 100%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는데 이 같은 SW를 정부 차원에서 개발해 중소기업에 배포해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제안했다.
김 교수는 또 “기업에서는 ISO 26262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파악하고 그에 따라 단계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당장 기술이나 인력이 부족하면 해외 전문가를 영입하는 등 적극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김 교수는 “ISO 26262는 한강이 아니라 태평양처럼 넓은 분야여서, 어떤 한 두 분야 기술력이나 전문가를 확보한다고 해서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다”며 “시스템·하드웨어·SW·신뢰성 공학과 안전성 분석 및 프로세스 관련 인프라를 종합적으로 갖춰야 대응이 가능하다는 점을 우리 모두 인식할 때”라고 강조했다.
김용주 기자 kyj@etnews.com
© 2024 rpm9.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