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사 노동 많아도 ‘팔꿈치 통증’ 발생∙∙∙ 방치하면 관절염으로 악화될 수도

Photo Image

테니스 엘보, 골프 엘보를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다. 테니스 엘보의 의학적인 용어는 팔꿈치 외상과염이다. 팔꿈치 관절의 바깥쪽 부분 뼈에 붙어 있는 힘줄에 염증이 생겨서 붙은 이름이며, 테니스를 즐기는 사람들에게서 많이 발생한다.

골프 엘보의 의학적 명칭은 팔꿈치 내상과염인데, 팔꿈치 관절의 안쪽 힘줄에 염증이 생기고 골프를 즐기는 사람에게 자주 나타난다.

그렇다고 팔꿈치 통증이 프로 운동선수들이나 구기 스포츠를 즐기는 사람에게만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인천 모두병원 하승주 원장은 “평소 팔꿈치나 손목 관절을 많이 움직이는 직업군, 팔꿈치 뼈를 둘러싼 인대에 외상을 입은 사람, 팔꿈치 주변 조직에 퇴행성 변화가 일어난 중∙노년층이 굳어 있던 팔 근육을 갑자기 사용해도 팔꿈치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며 “바닥을 닦거나 빨래를 짜는 등 지속적으로 손이나 팔을 과도하게 회전하고 뒤로 젖히는 가사 노동을 많이 해도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팔꿈치 통증이 나타났다가 사라지기를 반복해서 대수롭지 않게 여겨 방치하는 경우가 많아 증상이 악화되고 만성화 된다는 점이다.

팔꿈치 통증이 만성화 되면 굉장히 가벼운 물건을 들거나 사용하는 것조차 힘들어 질 수 있다. 통증이 점차 손목과 어깨까지 퍼지고 팔꿈치 관절염으로도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팔꿈치 통증을 오랫동안 치료받지 않고 방치했는데 팔꿈치를 이유 없이 구부리기 불편하면 팔꿈치 관절염을 의심해 볼 수 있다. 관절염이 있으면 통증과 함께 팔꿈치를 완전히 구부리거나 펴기 힘들다. 팔꿈치 통증은 증상에 따라 치료하는데 증상 초기에는 스트레칭, 물리치료, 약물치료 등을 병행하면 효과를 볼 수 있다.

이 같은 비수술적인 치료법으로 팔꿈치 통증이 나아지지 않으면 체외충격파치료가 도움이 된다.체외충격파는 염증이 있는 팔꿈치 부위를 물리적으로 때려서 증상을 완화시키고 건강한 혈관이 만들어지게 도와서 치료를 촉진한다. 하지만 체외충격파로도 통증이 개선되지 않으면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최근에는 관절내시경을 이용해서 염증이 있는 조직을 제거하고 새로운 조직의 생성을 유도해 치료한다.

박형준 기자 (phj@rpm9.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