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 정확한 원인 파악이 치료율 향상 시킬 수 있어

Photo Image

이명은 남들은 듣지 못하는 소리를 환자 혼자서만 계속해서 듣게 되는 증상으로 주로 윙이나 삐 등 소리가 귀에는 계속해서 들려 집중력이 저하되는 등의 괴로움을 겪는다.

이런 증상이 잠시 나타났다가 마는 것이라면 문제가 되지 않지만, 계속되면 일상생활이 불편해진다. 또 과거 노년층에서 잘 나타나는 증상이었 것과 달리 최근에는 환자의 연령층이 낮아지고 있는 추세다.

이명은 외부자극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귀나 머릿속에서 소리가 나는 느낌의 증상으로 이에 전문가들은 정확한 원익 파악이 돼야 치료율을 향상 시킬 수 있다고 강조한다.

류도균 신비한의원 원장은 “이 증상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원인 파악이 필요하다”며 “환자느 알수 없는 원인도 의료진과 함께라면 파악이 가능해 증상이 계속된다면 서둘러 병원을 찾는 게 바람직하다”라고 말했다.

류 원장에 따르면 이 질환의 원인은 정신적인 스트레스와 과로가 주로 언급되고 있다. 또 유해환경물질, MSG와 같은 음식물 첨가제의 과한 섭취도 원인이 된다.

하지만 대다수의 환자들은 자신에게 이 증상이 왜 나타난 것인지 알지 못하고 있어 정확한 원인 파악이 이뤄져야 한다.

특히 귀 자체를 강화하고 뇌신경을 안정시켜 귀의 기혈 순행을 돕는다면 이 증상은 물론 난청 해결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또 인체의 오장육부와 연관된 증상으로 생각해 원인에 따라서 약한 장부 치료와 약한 귀를 치료하는 과정을 함께 하면 치료 효과를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귀 자체의 기혈순환을 좋게 하는 것만큼 장부의 균형을 되찾는 것도 중요한 일이기 때문이다.

류 원장은 “증상 치료에 가장 먼저 실시되는 것은 정확한 진단”이라며 “초진 상담 및 설문지 작성을 진행해 증상을 체크하고 다양한 장비를 통한 검진이 이뤄져야 정확한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고 말했다.

검진 방법에는 귀 내시경과 청력검사, 고막검사, 진맥 등이 있다. 특히 청력 검사실 검사는 이명, 난청, 어지럼증, 중이염 등 다양한 질환의 치료에 필요한 검사로 청력의 손실 유무를 파악할 수 있다.

류 원장은 “필요한 모든 치료 과정은 정확한 진단 결과를 토대로 해 이루어지는 만큼 그에 따른 한약 처방 등 효과는 장부의 약함을 바로잡고 귀를 강화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증상을 겪고 있다면 완화를 위해 생활환경에 변화가 필요하다”며 “소음이 심한 환경과 스트레스, 카페인, 흡연은 피해야 하며 충분한 휴식과 수면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병수 기자 (kbs@rpm9.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