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ENT 영화] 서울독립영화제2018(14) ‘내가 사는 세상’(감독 최창환) 아티스트들은 주변 사람들에게 오히려 존중받지 못한다

최창환 감독의 <내가 사는 세상>은 제44회 서울독립영화제(SIFF2018, 서독제2018) 새로운선택 부문에서 상영되는 장편 영화이다. 친하다는 이유로, 서로 알고 있다는 이유로 제대로 대우하지 않고 일을 시키는 불합리함을 영화는 보여주고 있다.
 
아티스트는 자신을 잘 아는 주변 사람들로부터 존중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 또한 <내가 사는 세상>에 나타나 있는데, 아티스트에게만 그런 게 아니라 사람들은 대부분의 다른 사람들에게 그렇게 대한다는 점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Photo Image
‘내가 사는 세상’ 스틸사진. 사진=서울독립영화제(SIFF) 제공

◇ 아티스트는 자신을 잘 아는 주변 사람들로부터 존중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내가 사는 세상>에서 디제이가 되는 것이 꿈인 민규(곽민규 분)와 학교 선배가 운영하는 미술학원에서 입시반 강사를 하고 있는 시은(김시은 분)은 아티스트이다. 아직 기성 아티스트는 아니지만, 그렇다고 아직 아티스트는 아니라고 볼 수는 없는 아티스트이다.
 
민규와 시은은 자신을 잘 아는 주변 사람들로부터 존중받지 못한다. 친한 형 지홍(박지홍 분)이 운영하는 클럽에서의 첫 공연을 앞두고 있지만, 친하다는 이유로 민규를 아는 동생 이상으로 대우하지 않는다. 시은의 학교 선배와 지홍은 대가를 지불하지 않는 일을 시은에게 시키는 것을 당연하게 여긴다.

Photo Image
‘내가 사는 세상’ 스틸사진. 사진=서울독립영화제(SIFF) 제공

자신을 잘 아는 주변 사람들로부터 아티스트가 존중받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잘 모르는 사람들로부터는 존중을 받지만 아는 사람들로부터는 별로 인정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이유는, 아티스트의 모습이 아닌 일반 생활인의 모습을 더 많이 봐 판타지가 없기 때문일 수도 있다. 그런 이유로 더 많이 사적으로 친해지지 않기 위해 팬들과 거리를 두려고 하는 아티스트들도 있다.
 
친근하게 다가가는 거리와 막 대해서는 안 되는 거리를 잘 알고 지키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아티스트에게만 그런 게 아니라 사람들은 대부분 다른 사람들에게도 그렇게 대한다. 그런데 아직 두각을 나타내기 전인 아티스트에게는 더욱 그렇다.

Photo Image
‘내가 사는 세상’ 스틸사진. 사진=서울독립영화제(SIFF) 제공

<내가 사는 세상>을 보면서 아티스트들은 특히 더 마음이 아플 수 있다. 소중한 사람이기 때문에 잘 대해주는 게 아니라, 오히려 막 대하고 합리적인 보상도 지불하지 않기 때문이다. ‘아는 사람이 더 무섭다’라는 말은 아티스트의 세계에서도 그대로 적용된다. 결국 현실에서 나의 발목을 잡는 것은 돈일 경우가 많다. 아티스트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청춘들에게 모두 해당되는 사항이다.
 
갑질과 횡포라는 면에서 <내가 사는 세상>은 소심하게 사회의 불합리한 단면을 고발하는 영화 영화라고 볼 수도 있다. 강력하게 저항하는 영화는 아니고 소심하게 사회를 고발하는 영화라고 볼 수 있다.

Photo Image
‘내가 사는 세상’ 스틸사진. 사진=서울독립영화제(SIFF) 제공

◇ 흑백 영화가 전달하는 포근한 감성
 
<내가 사는 세상>은 칼라 영화가 나오기 이전의 흑백 영화가 아닌, 기술력이 발달된 시대에 만든 흑백 영화이다. 흑백이긴 하지만 화질이 선명하다. <내가 사는 세상>이 소심한 사회 고발 영화일 수 있다고 언급했는데, 흑백 영화라는 측면에서 보면 칼라로 된 세상을 모두 과감하게 고발하는 게 아니라 사회의 단면을 흑백으로 필터링해 소심하게 고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꿈꾸는 세상은 총천연색으로 아름답지만 현실은 그냥 밋밋한 흑백일 수도 있다.
 
흑백 영화는 왠지 아날로그적 정서가 풍부할 것 같고, 따뜻한 감성이 담겨 있을 것 같은데, <내가 사는 세상> 또한 그런 뉘앙스가 전달된다. 사회의 아픈 면을 담고 있으면서도 너무 날카롭게 아프지는 않기를 바라는 감독의 마음일 수도 있다.

Photo Image
‘내가 사는 세상’ 스틸사진. 사진=서울독립영화제(SIFF) 제공

천상욱 기자 (lovelich9@rpm9.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