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ENT 영화] ‘쓰레기’(감독 염지호) 2018 한예종 영상원 영화과 졸업영화제(19)

발행일자 | 2018.02.02 10:45

염지호 감독의 ‘쓰레기(Trash)’는 2018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화과 졸업영화제 상영작인 단편영화이다. 출소한 남자(염인섭 분)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데, 억울한 부분도 있지만 그렇다고 동정의 마음을 주기에는 껄끄러운 면이 많다.

전과자라는 사회적 낙인이 찍힌 남자의 내면과 사회에서 받는 대접을 영화는 따라가고 있는데, 용서의 관점이나 단죄의 관점보다는 실제로 벌어지는 현상에 초점을 맞췄다는 점이 주목된다.

‘쓰레기’ 스틸사진. 사진=2018 한예종 영상원 영화과 졸업영화제 제공
<‘쓰레기’ 스틸사진. 사진=2018 한예종 영상원 영화과 졸업영화제 제공>

◇ TV에서 웃는 소리조차 자기를 비웃는 소리로 들린다

‘쓰레기’에서 남자는 출소 후 TV에서 웃는 소리조차 자기를 비웃는 소리로 들린다. 멀쩡한 외모와 성실한 태도와는 상관없이 전과자라는 것을 알고 나서 달라지는 사람들의 태도에 남자는 힘들다.

선의의 행동을 하다가 옥살이를 하게 된 남자는 자기를 대하는 사람들의 태도에 점점 더 삐뚤어지는데, 누구든 작은 계기로 방향이 틀어지기 시작하면 되돌아오기가 무척 어려워진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멋있게 살기 힘드네.”라는 말은 남자의 현실을 대표적으로 표현하고 있는데, 남자에게 선입견으로 대하는 영화 속 사람들을 보면서 관객은 더 포용적으로 대할 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하더라도, 실제로는 영화 속 사람들과 별반 차이 없이 행동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라는 점은 마음을 싸늘하게 만든다.

◇ 서서히 감정의 변화를 가져오는 염인섭의 울분

‘쓰레기’에서 염인섭의 초반 모습과 후반 모습은 확연하게 차이가 있다. 서서히 감정이 변화를 가져와 울분과 억울함을 견디지 못하는 상황에 이르는 모습을 염인섭은 리얼하게 보여준다.

염인섭은 처음에 그냥 맑고 순수한 모습이라기보다는 애써 담담한 척 감정을 배제한 듯한 표정 연기를 보이는데, 이런 모습은 내면이 변한 게 아니라 내면의 울분을 통제하고 있다가 폭발한 것으로 생각하게 만든다.

사실 착한 사람도 본성 자체가 착한 경우도 있지만, 내면의 악함을 이성으로 다스리기 때문에 착하게 사는 경우가 더 많다는 것을 생각하면, 염인섭의 연기 표현법은 사실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쓰레기’ 염지호 감독. 사진=2018 한예종 영상원 영화과 졸업영화제 제공
<‘쓰레기’ 염지호 감독. 사진=2018 한예종 영상원 영화과 졸업영화제 제공>

◇ 나서서 보호해주는 사람이 없는 세상에 던져지면서

‘쓰레기’에서 사람들은 출소한 남자로부터 자신들을 지켜야 한다고 생각하고 행동한다. 그렇지만 남자로부터 자신을 배타적으로 보호하기보다 남자를 먼저 보호했다면 어땠을까 생각해 본다.

전과자가 아니더라도 아무도 보호해주지 않는 세상에 던져진 사람들은 생존을 위해서 더욱 독해지며 나쁜 행동의 유혹에 넘어갈 가능성이 점점 높아진다. 다른 사람을 챙길 만큼 마음의 여유가 없는 세상이기에, 보호받을 울타리가 없는 사람들은 힘들어지고 때로는 충동적이거나 극단적인 선택을 자기도 모르게 할 수도 있다.

감독은 이 영화에서 궁극적으로 어떤 메시지를 전달하고 싶었을까? 용서도 아닌, 단죄도 아닌, 그냥 바라보는 태도를 취한 건 어쩌면 선입견 없이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그를 위하는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 아닐까?

천상욱 기자 (lovelich9@rpm9.com)

© 2024 rpm9.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주요뉴스

RPM9 RANKING


위방향 화살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