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휴직 사용률, 여성 788명 중 58.9%는 사용하지 않아

Photo Image
'슈퍼맨이 돌아왔다'

공무원들의 육아휴직 사용률이 일반 회사 근로자들 보다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내놓은 보건복지포럼의 '취업여성의 일·가정양립 실태와 정책적 함의' 보고서에 따르면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한다.

2011년 이후 첫 아이를 출산한 15∼49세 직장인 여성 788명 중 41.1%가 육아휴직을 사용했고, 58.9%는 사용하지 않았다.

공무원·국공립 교사의 육아휴직 사용률은 75%로 가장 높았고, 이어 정부 투자·출연기관 종사자도 66.7%가 육아휴직을 사용했다. 일반 회사에 다니는 근로자는 34.5%만이 육아휴직을 사용했다.

이러한 가운데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는 2015년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의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자녀가 꼭 있어야 한다’는 태도는 60.2%, 있는 편이 낫다는 태도는 29.0%, 없어도 무관하다는 태도는 10.6%, 모르겠음 0.1% 등으로 나타났다.

또 1자녀 이하 출산 희망 이유로 미혼남녀 모두 자녀양육‧교육비 부담과 여가‧자아성취를 주된 이유로 제시 했다.

미혼남성의 경우 소득부족, 실업‧고용불안정 등 경제적 이유 중시했고, 미혼여성의 경우 일·가정 양립 곤란과 육아인프라 부족도 중요 이유로 꼽았다.

한영민 기자 rpm9_lif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