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 7월 내수서 고공행진…국내 업체 중 최다 성장

Photo Image

7월 내수 실적에서 쌍용차가 가장 높은 성장율을 보였다.

1일 업계에 따르면, 7월 국내 완성차업체의 실적은 현대차, 기아차, 쌍용차, 한국GM, 르노삼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업계 선두인 현대차는 6만367대로 전월 대비 1.5%, 전년 동월 대비 1.3%의 증가를 기록했다. 싼타페(9893대)와 그랜저(8571대), 아반떼(7522대)가 상승세를 이끌었고, 코나(4917대)도 좋은 실적을 나타냈다. 그러나 간판 차종인 쏘나타가 전년 동월 대비 11% 줄어든 5948대에 그쳤고, 자영업의 불황에 영향을 받은 포터도 전년 동월보다 7.9% 감소했다.

기아차는 전년 동월보다 7.8% 늘어난 4만7000대를 기록했는데, 특히 승용 라인업이 20.6%의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다. K3와 K5, K9이 큰 인기를 끌고 있고, 7월까지 누적 판매에서도 모닝과 K7을 제외하고 모두 두 자릿수 이상의 성장을 보이고 있다.

쌍용차는 G4 렉스턴과 렉스턴 스포츠가 효자차종 노릇을 톡톡히 했다. 특히 4012대로 역대 월 최대실적 갱신한 렉스턴 스포츠에 힘입어 올해 월 최대 내수실적(9823대)도 기록했다. 전년 동월 대비 13.5%의 성장률이다. 다만 티볼리의 판매가 줄고 있다는 게 쌍용차에게는 적신호다.

한국GM은 전년 동월보다 16.7% 증가한 9000대의 실적으로 마감했다. 모든 차종이 전년 동월보다 판매가 줄어든 가운데, 말리부(73.5% ↑)와 임팔라(22.3% ↑), 카마로(7.7% ↑)는 전월보다 판매가 늘었다. 전기차인 볼트(Bolt EV)는 전월보다 46.2% 감소한 872대에 그쳤으나, 7월까지 누적 판매는 전년 대비 11배 가까이 증가한 3994대를 기록하고 있다.

르노삼성은 7월에도 내수 최하위를 벗어나지 못했다. 전년 동월보다 늘어난 차종은 SM5, SM3, QM6 등 세 차종이며 그 이외의 차종은 모두 큰 폭으로 감소했다. 7월까지 누적 실적으로는 SM5와 QM6, SM3 Z.E, 트위지가 증가했으나, 주력 차종인 SM6가 47.5%나 감소해 위기감을 높이고 있다.

내수 4위인 한국GM은 7월까지 5만1497대, 5위인 르노삼성은 4만8522대를 기록하고 있다. 르노삼성이 새로운 반전을 이뤄내지 못한다면 상승세를 기록 중인 한국GM을 따라잡기 쉽지 않아 보인다.
임의택 기자 (ferrari5@rpm9.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