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욱 감독의 ‘프로토타입(Prototype)’은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화과 졸업영화제 상영작인 단편영화이다. 프로토타입은 일반적으로 본격적인 대량 생산에 의한 상품화 이전에 미리 제작하는 시제품을 뜻한다. 아직 완벽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고, 완성품이 되는 과정 중에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 감정적인 오버랩, 자기방어와 적응기간의 공존
영화가 시작할 때 아들 수빈(조준원 분)은 마룻바닥에 누워있고 엄마 혜지(장하란 분)는 그런 아들을 바라보고 있다. 왜 누워있고 왜 바라보는지에 대한 호기심과 궁금증은, 감독이 궁금증을 왜 던져 놓았는지 이해할 수 있는 시간까지 이어진다.
“왜 그렇게 빤히 봐?”라는 수빈의 질문에 엄마가 “수빈아”라고 말을 한 후 ‘Prototype’이라는 타이틀이 나온다. 수빈이의 이름을 부른 여운이 아직 남아있을 때, 수빈이와 프로토타입을 감정적으로 오버랩하는 느낌의 편집이 이뤄진 점은 돋보인다.
자기방어와 적응기간을 갖는 것은 프로토타입과 혜지의 공통점이다. 시간은 상처를 축적해 더 아프게 만들 수도 있지만, 그 축적된 상처를 딛고 일어설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기도 한다.
◇ 약한 파도 위의 배처럼 일정한 형태의 흔들림을 주는 카메라
‘프로토타입’에서 원 샷을 잡을 때 카메라는 장하란의 정면을 바라보고, 조준원은 측면 얼굴을 바라보는 시간이 많다. 장하란은 조준원의 얼굴을 빤히 쳐다보지만, 카메라는 조준원의 얼굴을 약간 빗겨서 쳐다본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감독이 카메라를 통해 바라보는 시선과 영화 속 혜지가 바라보는 시선은 같지 않은 것이다. 이 사이의 미묘한 차이는 마음이 흔들리듯 카메라를 흔들리게 만든다. 고정돼 관조적으로 바라볼 수도 있는 카메라는 마치 약한 파도 위에 떠있는 배처럼 파동의 움직임을 만들고 있다.
뛰고 달리는 것처럼 과한 움직임을 하지는 않지만, 정지해 관조적으로 제3자의 시각으로 바라볼 수는 없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관객은 영화 초반에 미세하게 흔들리는 영상이 어색할 수도 있지만, 이모 민지(우미화 분)와 예지 간의 감정의 격발 후에는 카메라의 움직임에 더욱 감정의 파동을 맞출 가능성이 높다.
◇ 상실의 아픔을 극복하는 방법
상실의 아픔은 여러 가지로 나타날 수 있다. 받아들이지 않으려고 저항할 수도 있고, 그 자리에서 좌절하게 만들 수도 있고, 저항도 좌절도 하지 못하게 그 자리에서 사람을 정지시킬 수도 있다.
상실의 빈자리를 누군가가 대체해주기를 바라는 마음은 ‘프로토타입’의 혜지만큼 어쩌면 혜지보다 더 실제적으로 클 수도 있다. 반려견도 복제해 계속 키우고 싶은 사람들이 공존하는 시대에 ‘프로토타입’은 특정한 상황에 처한 사람들의 이야기가 아닌,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이야기이다.
이승욱 감독은 ‘프로토타입’에서 서서히 갈등을 높이지 않고 한순간에 갈등의 수위를 높였고, 궁금함을 견디는 시간이 늘어지면 관객들이 피로감에 쌓일 수 있다는 것을 잘 알고 만들었다는 점이 눈에 띈다.
갈등의 수위를 한 번에 높이고 그 뒤에 빈자리를 채워가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는데, 관객의 감정과 몰입도도 비슷한 경로를 따라간다는 점에서 관객의 마음을 잘 아는 감독의 훌륭한 선택이라고 생각된다.
천상욱 기자 (lovelich9@rpm9.com)
© 2024 rpm9.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